Market
글로벌 온라인 유통의 변화와 역직구 전략 (1)
2014-07-16 | 텍스헤럴드 전문기자 mapci34@gmail.com
![]() 국내외 유통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과 모바일 등 온라인 기술이 급격히 진화하며 글로벌이라는 거대한 통합 마켓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제 더 이상 국가 간의 문화차이와 거리는 소비의 장벽으로 작용하지 않게 됐다. 특히 지난 16일 관세청이 해외직구 활성화를 통해 수입 가격 인하를 유도하는 등 소비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전자상거래 특별통과 절차에 관한 고시’를 개정, 시행하며 최근 국내에 불고 있는 해외직구 기세가 더욱 가속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 4월까지 해외 직구를 통해 국내에 들어온 물품은 전년대비 56% 증가했다. 한편 해외 고객이 국내 쇼핑몰에 접속해 물건을 구매하는 역직구 바람도 거세다. 정부 역시 해외직구 뿐만 아니라 역직구 활성화에도 노력중이다. 해외 고객이 국내 쇼핑몰을 이용하는 데 불편을 겪지 않도록 공인인증서 폐지 등 구체적인 방안 모색에 힘쓰고 있다. 이처럼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유통의 변화와 역직구에 따른 전략은 무엇일까.
해외직구를 부르는 3가지 키워드는?
글로벌 온라인 마켓, 이렇게 변화한다! 첫 번째는 ‘취향의 교차’이다. 동서남북 지구촌 곳곳이 재평가되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동양인은 서양 옷을 정확히 이해 못한다’는 과거의 편견이, 현재는 ‘오히려 편견 없이 신선한 디자인을 제시한다’는 형태로, ‘시즌이 다르기 때문에 비즈니스가 어렵다’는 단점이 ‘시즌 재고를 신상으로 판매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재평가 되고 있다.
네 번째는 ‘쇼핑 경로의 교차’이다. 언제 어디서나 쇼핑을 할 수 있도록 옴니쇼핑 구매가 늘고 있으며, 쇼핑의 경로도 더욱 다양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가령 온라인 종합쇼핑몰 ‘롯데닷컴’이 선보이고 있는 옴니채널 쇼핑 ‘스마트픽’은 리뉴얼 3개월 만에 앱 다운로드 2만 건을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스마트픽은 PC나 모바일을 통해 상품을 구입하고 해당 롯데백화점 매장을 방문해 그 자리에서 제품을 수령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통합 쇼핑 서비스이다. 온라인의 다양한 구매혜택과 더불어 물건을 직접 확인 할 수 있는 오프라인의 장점이 결합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다섯 번째 변화는 ‘정보의 교차’이다. 빅테이터를 이용한 마케팅 활용이 갈수록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빅테이터를 이용하면 자사고객의 구매 패턴을 분석해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고객의 특수한 요구 사항에 맞춰 주문제작 모델을 만들어 내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호에 계속…)
<참조: PFIN>
이상아 기자 mapci34@gmail.com
지난기사 리스트
.‘미닝아웃(Meaning Out)’ 트렌드, 지속가능한 친환경 브랜드가 주도한다 [25-04-12]
.일상복이 된 스포츠 유니폼.. 올여름 블록코어의 바람이 분다 [24-07-22] .일상복이 된 스포츠 유니폼.. 올여름 블록코어의 바람이 분다 [24-07-09] .패션업계, 장마 마케팅으로 소비자 공략 나서 [24-07-07] .올 여름 휴가 패션...캐주얼부터 컬러감 있는 스타일까지! [23-07-26]
MOST READ NEWS
|